Serverless setting(nest)
이실직고합니다. 솔직히 맨날 커밋하면서 공부한 건 진짜진짜 자신하는데, 블로그 글 쓰긴 너무 귀찮았습니다. 그래서 두달동안 게시글이 하나도…. 방학이라서 놀은 게 절대절대 아닙니다. 노과리 프로젝트도 많이 만들었구요… nestjs도 그래도 꽤 공부했는데… 블로그글 쓰기 너무 귀찮았습니다. 죄송합니다. 그래서 오늘은 다른날과 다르게 존댓말로 글을 써보겠습니다. 이렇게 시작하니까 또 새롭기도 하네요. 오랜만에 쓰니까 ㅋㅋㅋ 원래 이렇게 쓰는 줄 알았습니다.
사실 노과리는 여태 공부했던 내용 복습같은 느낌이라서 쓸만한 내용이 없… 죄송합니다.
그래서 오랜만에 가지고 온 글은 제곧내. 서버리스 세팅입니다. nest와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하여 세팅하는 방법을 공부했으며, 그 과정에서 진짜 우여곡절 얼렁뚱땅 된 부분도 있는 거 같고, 완벽히 이해했다고 생각이 들진 않지만, 그럼에도 분명 내가 이걸 다시할 때 까먹어서 얼탈게 뻔하니 블로그에 정리해두자. 란 느낌으로 가져와봤습니다.
다음은 참고한 게시글입니다. 거의 따라했다고 봐도 무방하지만, 따라하면 아마 안되실겁니다 ㅋㅋ 저도 그랬으니깐요.
우선 터미널에 다음과 같은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줍니다.
$ npm i -g serverless
$ npm i @vendia/serverless-express aws-lambda
$ npm i -D @types/aws-lambda
뭐가 뭐하는 녀석인지 모르겠으나, nestjs 공식 문서에도 그냥 저거 설치하라고 나와있습니다. 안 알려주는데 어캐알아..
그 다음으로도 공식 홈페이지가 만든 것과 똑같이 main.ts를 설정해줍니다.
import { NestFactory } from '@nestjs/core';
import serverlessExpress from '@vendia/serverless-express';
import { Callback, Context, Handler } from 'aws-lambda';
import { AppModule } from './app.module';
let server: Handler;
async function bootstrap(): Promise<Handler> {
const app = await NestFactory.create(AppModule);
await app.init();
const expressApp = app.getHttpAdapter().getInstance();
return serverlessExpress({ app: expressApp });
}
export const handler: Handler = async (
event: any,
context: Context,
callback: Callback,
) => {
server = server ?? (await bootstrap());
return server(event, context, callback);
};
그 후, serverless 설정을 위한 파일(serverless.yml)을 만들 것인데, 이 내용도 공식문서와 같습니다.
service: nest-serverless-test
frameworkVersion: '3'
plugins:
provider:
name: aws
region: ap-northeast-2
runtime: nodejs16.x
functions:
api:
handler: dist/lambda.handler
events:
- http:
method: any
path: /{proxy+}
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main.ts는 src안에 있지 않습니까? 근데 serverless.yml파일은 src밖에 즉, tsconfig나 package.json이나 nest-cli.json같은 공간에 있어야합니다. 이것때문에 제가 많이 헤맸거든요.. ㅎ
그 후, tsconfig의 “incremental” 옵션과 “esModuleInterop”을 true로 주었는데, 안 주면 오류걸립니다.
자 이제 다 했습니다. 위의 사이트 대로라면 여기서 터미널에
$ npm run build
$ sls deploy
를 했을 때 되어야합니다. 근데 이렇게 입력하면 aws사이트가 뜹니다. 이것까진 오케이. 근데 사용자를 만들랍니다. 뭐 만들어봅시다.
여기서 제가 많이많이 헤맸는데, sls deploy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를 선택할 때, IAM옵션에서 정책권한을 되게 여러개를 부여해줘야합니다. 내가 직접 aws에 들어가서 lambda를 설정하지않고, Api Gateway를 설정해주지않으며, Cloudflatform을 설정해주지 않기때문에, 저 sls deploy옵션이 실행되는 환경에서 접속되는 IAM에 이런 것을 전부 허락해주어야 합니다.
그래서 다음 이미지에 포함된 옵션들을 전부 선택해서 정책에 넣어주세요.
이 중 하나라도 선택이 안되어있으면 deploy 중간에 계속 오류가 뜹니다.
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었다면 sls deploy가 잘 작동합니다.
저기 써져있는 endpoint를 눌러서 접속한다면,
이렇게 오류가 뜰텐데, 걱정하지 마십쇼. 일단 500이 아닌 404 에러가 나왔다는 건 서버가 켜졌고, api호출이 잘 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.
테스트를 해보기 위해 cli로 test controller와 module을 만들어봅시다.
$ nest g mo test
$ nest g co test
그 후, test.controller.ts 파일을 다음과 같이 test Get요청을 만들어봅시다.
import { Controller, Get } from '@nestjs/common';
@Controller('/test')
export class TestController {
@Get()
async test() {
return 'test';
}
}
그 후,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
$ npm run build
$ sls deploy
해준다음, ~~~~/dev/test를 호출해본다면?
짜잔~ test가 잘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걸 보는 미래의 나와 있을 지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서 열심히 글을 써봤다.
오늘도 알찬 하루~ 행쇼~